분류 전체보기 44

초등학생 우리 아이 고전 읽기로 똑똑하게 키우는 방법

아이에게 고전을 읽게 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독서 환경을 만들어 주는 방법은 거실을 소재화하거나, 도서 대출 카드를 만들고 독서 친구들을 만들어 주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아이들에게 책을 읽을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 주어야 합니다. 이것이 어렵다면 거실에 있는 게임기와 TV를 없애는 것만으로도 아이들에게 시간적인 여유를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고전 읽기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부모 입이다. 아이들은 부모가 어떤 모습을 보여 주느냐에 따라 굉장히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부모의 행동에 따라 좋은 환경도 될 수 있고, 해로운 환경도 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아이에게 성공적으로 고전을 읽히고 싶다면, 부모가 먼저 고전을 읽는 모습을 보..

꿀팁방 2023.01.24

아들러 심리학으로 보는 우리 아이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대처법

어떤 사람에게 일어나는 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이 주변 사람들에 대해서 어떠한 태도를 취하는지를 알아야만 합니다. 우리의 말과 행동에는 상대가 분명히 존재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 상대로부터 어떤 응답을 이끌어 내려고 합니다. 만약 아이들이 부적절한 행동을 하였고 그 결과 부모나 선생님이 꾸짖거나 벌을 줘서 아이의 그 행동을 그만두게 한다면, 대부분의 아이들은 일시적으로 그런 생동을 멈추긴 해도 조금 지나면 또다시 동일한 행동을 반복하게 됩니다. 아이가 부모나 선생님한테 주목을 받기 위해 하는 행동이기 때문입니다. 주목받기를 목적으로 행동하는 아이에게 주의를 기울이는 방식으로 주목하면 아이는 그 행동을 멈추지 않습니다. 아이에게 왜 그런일을 했냐고 물어도 만족할 만한 대답이 돌아오지 않습니다. 그..

꿀팁방 2023.01.24

유대인을 통하여 보는 우리 아이 공부 방법

유대인의 공부비법 오늘날 하버드 대학교 재학생 중 30%, 예일대, 코넬대, 프린스턴 대학교의 25%가 유대인이며, 노벨상 수상자의 24% 이상이 유대인입니다. 이들은 미국의 4대 일간지와 주요 방송국을 포함한 언론, 영화산업, 금융 등을 이끌며 전 세계를 움직이고 있습니다. 지구촌에 흩어져 살며 세계 인구의 0.2%도 미치지 못하는 유대인이 어떻게 세계를 움직이며 영향력을 넓히고 있을까요? 유대인과 한국인의 교육 차이 전 세계에서 가장 머리가 좋은 민족은 바로 우리 한민족입니다. 그렇다면 유대인과 우리의 교육 차이는 무엇일까요? 바로 가정교육과 질문과 토론입니다. 유대인은 이 두 가지 교육을 통해 전 세계에 영향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유대인의 가정교육이 어떠할까요? 유대인 교육의 중심은 학교가..

꿀팁방 2023.01.20

우리 아이 효과적인 공부 방법 -요약 노트 작성과 복습법

우리 아이의 효과적인 공부 방법 1. 요약 노트 만들기 오늘 배운 내용 중에 뭐가 중요하고 뭐가 중요하지 않은지 요약 노트에 써서 정리합니다. 하지만 요약 노트를 처음 만들어 본 아이들은 무엇이 중요한지 아닌지 알아낼 방법이 없습니다. 우선 학교 수업 시간에 집중하여 노트 필기하고, 필기한 부분에서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다시 노트 반쪽 분량으로 정리합니다. 이 요약 노트에는 오늘 학교에서 배운 내용 중 꼭 알아야 할 내용이 순서대로 간결하면서도 빠짐없이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 요약 노트를 깜지 쓰듯 베껴 쓰면 외우게 하면 됩니다. 요약 노트 만들기가 성공하려면 큰 노력이 필요합니다. 우선 아이들에게 요약 노트를 왜 만들어야 하는지 설득해야 합니다. 그러고 철저하게 검사해야 합니다...

꿀팁방 2023.01.20

우리 아이 효율적인 공부 방법과 공부 잘하는 방법

효율적인 공부 방법 - 쓰면서 하는 공부의 중요성 외워야 하는 정보를 눈으로 보고 손으로 쓰면, 손의 말초신경이 활성화되면서 대뇌의 운동 중추에 전해지고, 대뇌 각 부분의 활동량이 증가합니다. 즉, 손을 자극하면 대뇌가 활성화됩니다. 손과 혀 등 섬세한 움직임을 담당하는 부분의 뇌는 표면이 넓고, 목부터 등, 다리를 담당하는 부분의 뇌는 표면이 좁습니다. 실제로 사람의 손끝은 고양이의 수염과 비슷할 정도로 예민합니다. 원하는 정보를 머릿속에 집어넣기 위하여 손을 자극하는 방법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쓰면서 공부할 때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한 감각기관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입니다. 손으로 쓰면서,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입으로 말하며 다양한 감각기관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꿀팁방 2023.01.19

우리 아이 ADHD 증상 자가 진단과 악화 요인 및 처방법

우리 아이 ADHD의 자가 진단 다음 '부주의'에 관한 증상 중 6개 이상이 6개월간 지속될 때 ADHD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1. 세부적인 작업을 할 때 주의를 면밀히 기울이지 못하고, 실수가 잦다. 2. 일이나 놀이에 지속해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한다. 3. 타인의 말을 경청하지 않는다. 4. 지시를 완수하지 못하고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지 못한다. 5. 과업과 활동을 체계화하지 못한다. 6. 지속적인 정신적인 노력이 필요한 작업을 싫어하고 저항한다. 7. 작업에 필요한 물건을 자주 잃어버린다. 8. 외부 자극에 쉽게 산만해진다. 9. 일상적인 활동을 쉽게 잊는다. 다음 '과잉행동-충동'에 관한 다음 증상 중 6개 이상이 6개월간 지속될 때 ADHD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1. 손발을 가만히 두지 못하..

꿀팁방 2023.01.19

고학년 초등학생 우리 아이의 성에 대해

"엄마 몰래 자위행위를 해요" 문제는 아이를 대하는 부모의 태도 부모 대부분이 아이들의 성 문제에 관해서 만큼은 머릿속의 지식을 실제 내 아이에게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성교육을 어떻게 해야 하고, 성에 관한 대화는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잘 알면서도 막상 생활 속에서 성 문제에 부딪히면 어쩔 줄 몰라 합니다. 부모가 아이들의 성 문제를 껄끄러워하는 것은 머리로만 이해하고 감정으로는 제대로 공감을 못 하기 때문입니다. 자위행위 자체는 이 나이 또래 아이에게서 드러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인간은 생식본능을 가진 동물입니다. 그 본능에 따라 아주 어린 아이일 때부터 자위행위를 하게 됩니다. 아이에게도 성생활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위행위는 아주 어릴 때부터 시작합니다. 돌 전 아이는 기저귀가 성..

꿀팁방 2023.01.18

초등학교 고학년 우리 아이의 문제 행동

"엄마 아빠 말에 대꾸조차 안 해요" 대답을 안 하는 게 당연합니다. 초등학교 6학년 정도가 되면 이제 서서히 성인이 되기 위한 준비를 시작합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부모에게서 독립하려는 성향을 강하게 보입니다. 부모와 대화를 꺼리고 부모의 말에 합리적인 판단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조건 반발부터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부모들은 아이의 이러한 행동에 당혹해하면서도 사춘기 아이들의 일반적인 특징인지, 아니면 다른 문제가 있는 것인지 헷갈립니다. 이 시기의 아이와 대화하려면 아이를 성인으로 대우하고자 노력하면서,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야 합니다. 아이의 기준에서 말을 꺼내야 합니다. 아이의 입장에서 대화하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타이르는 말이 아니라, 아이의 생각을 질문형으로 대화를 해보도록 합니다. 이렇게..

꿀팁방 2023.01.18

초등학교 고학년 공부와 학교 성적에 관하여

"성적이 갑자기 뚝 떨어졌어요" 성적보다 중요한 것은 공부에 대한 관심 어느 날 갑자기 아이의 성적이 떨어지면 부모는 몹시 당황해합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딱히 그럴만한 이유가 없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갈피를 못 잡게 됩니다. 하지만 분명히 어떤 계기가 있고 갑자기 아 아닌 훨씬 전부터 아이의 변화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다만 부모가 그 사실을 모르고 지내다 성적이 눈에 띄게 나빠진 것을 발견하고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게 된 것입니다. 그동안 공부를 곧잘 하던 아이의 성적이 떨어지고 어느 날 갑자기 공부에서 손을 놓을 때 부모 대부분은 왜 성적이 떨어졌는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민합니다. 하지만 부모가 정작 알아야 할 사실은 왜 공부에 흥미를 잃었을까 입니다. 아이의 성적이 갑자기 떨어졌다면 ..

꿀팁방 2023.01.17

초등학교 고학년 아이의 습관

"아무 데서나 욕을 해요" 공격성을 조절하는 수단이자 또래 문화 아이들의 욕은 보통 3학년 때 시작해서 5학년이 되면 절정에 이릅니다. 아이들이 욕을 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한 가지 이유는 공격본능을 없애려는 것입니다. 욕을 하고 나면 부정적인 감정이 해소되어 아이의 공격성도 줄어들게 됩니다. 사람은 누구나 공격성을 가지고 있고 그것을 적당히 조절하면서 살아갑니다. 그런데 공격성을 조절 못 하는 아이들은 다른 사람을 때리고 물건을 부수는 등 문제 행동을 저지르게 됩니다. 욕도 그런 행동 중 하나이므로 아이가 욕을 너무 심하게 하면 평소 생활에서 적당히 공격성을 해소해 줘야 합니다. 또 다른 이유는 또래와 동질감을 느끼고 자신의 우월성을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아이들은 저희끼리만 아는 은어를 쓰..

꿀팁방 2023.01.17